2202 6

[2022.08.08 ~ 08.12] 개발 일지

[2022.08.08 ~ 08.12] 개발 일지 레벨 - 레벨3 적용 - 포스트프로세스볼륨 / 아웃라인 하이라이트 Material 적용 - 전체적인 레벨 게임모드, 플레이어 컨트롤러 수정 및 보완 - 게임 실패, 일시정지 메뉴, 게스트 기다림 기능 추가 오브젝트 - 레벨3 관련 오브젝트 - 해킹 시 아웃라인 적용 UI 정리 기존처럼 멀티 플레이 시 패키징 파일을 사용할 경우 팅김 현상이 잦게 발생하였고 LAN을 사용할 경우 이 상황이 발생하지 않았다. 데모버전의 완성에 가까워졌다. 아 그리고 배포 Shipping용 패키징 파일을 사용할 시 YourPackagePath/YourProjectName/Binaries/Win64/ 이 경로 안에 다가 steam_appid.txt 파일을 넣어줘야지 Steam 서버..

개발일지/2202 2022.09.11

[2022.08.02 ~ 08.06] 개발 일지

[2022.08.02 ~ 08.06] 개발 일지 플레이어 캐릭터 레벨 - 레벨1, 2 수정 적용 - 로비 레벨 적용 적 - 스턴 상황 추가 - 스턴 추가 과정으로 인해 기존 로직에서 이상하게 걸어가는 버그 발생하여 로직 수정 - 피격 시 이상현상 수정 - 적 총알 메시 및 이펙트 수정 오브젝트 - LaserWall 해킹 시 Material 수정 가능하게 변경 멀티 테스트 - 1차 멀티 테스트(2022.08.02) ▸ Host 프로젝트 독립 실행, Guest 프로젝트 독립 실행 - 로딩에서 안넘어감 ▸ Host 패키징 파일 실행, Guest 프로젝트 독립 실행 - 이상 없음 - 2차 멀티 테스트(2022.08.03) ▸ Host 패키징 파일 실행, Guest 패키징 파일 실행 - 레벨에서 게스트 팅김 ▸ ..

개발일지/2202 2022.09.11

[2022.07.26 ~ 07.30] 개발 일지

[2022.07.26 ~ 07.30] 개발 일지 플레이어 캐릭터 - 적을 해킹 시 스턴 기능 추가 - 여러 해킹 오브젝트들과 상호 작용 기능 - 로우 폴리 임시 캐릭터 모델링 적용 및 애니메이션 리타게팅 - 애니메이션 리타게팅 시 몇가지 애니메이션이 이상하게 적용되는 이슈 발생(노가다 작업으로 해결) 적 - 회전, 공격 애니메이션 적용 - 공격 AI 추가 적용 오브젝트 UI - 렌더타겟을 이용하여 캡쳐한 화면을 UI로 활용 - 렌더 타겟의 캡쳐 소스 옵션을 잘 설정해야함 정리 및 결과물 본인의 코로나 와 결과물 제출일자가 앞당겨지는 이슈로 인하여 기존 기획적인 내용이 수정이 되어 카메라 해킹을 통한 시점 이동은 사라졌다. 렌더 타겟을 이용하여 UI를 적용할 때 캡쳐 소스 옵션이 어떤 영향을 주는지 몰랐는..

개발일지/2202 2022.09.10

[2022.07.19 ~ 07.23] 개발 일지

[2022.07.19 ~ 07.23] 개발 일지 플레이어 캐릭터 - 해킹 UI 수정 및 해킹 방법 개선 적 - 애니메이션 적용 및 기본 움직임 AI 적용 오브젝트 - OnConstruction(const FTransform& Transform) 함수를 활용하여 레벨 에디터에서 레이저의 갯수 및 길이등을 수정할 수 있게 만듦 멀티플레이 테스트 - Steam : Level1 최신화 전까지는 Steam 서버를 이용한 멀티 플레이가 문제 없이 구동하였으나, 최신화 이후 스테이지 진입 시 게스트가 팅기는 현상 발생 - LAN : 같은 랜선(와이파이 X) 이용 시 문제 없이 구동 정리 기존 레이저를 사용 시 직접 플레이어 입장에서 볼 경우 어색함이 없었으나, 타 플레이어가 볼 경우 어색함이 느껴져서 레이저를 사라지..

개발일지/2202 2022.09.10

[2022.07.12 ~ 07.16] 개발 일지

[2022.07.12 ~ 07.16] 개발 일지 플레이어 캐릭터 Hacker - 해킹 오브젝트와 상호작용(카메라) / 솔로 플레이 - 멀티플레이에서 Posses 어려움 발생 레벨 메인 메뉴 - 메인 메뉴 UI 적용 로비 - 로비(대기실) 메뉴 UI 적용 정리 블루프린트에서 재정의 할수있는 UFUNCTION(BlueprintImplementableEvent), 서버 관련 함수 UFUNCTION(Server), UFUNCTION(NetMulticast), UFUNCTION(Client) 등에 대해서 알아보았다. https://blog.naver.com/han7477/222807906796 솔로플레이에서는 정상 작용하던 것들이 멀티플레이에서는 서버에서만 작동하거나 전부 작동을 하지 않는 상황이 발생했다. 조금..

개발일지/2202 2022.09.10